경상북도는 19일 이철우 도지사가 직접 월성원전 1·3호기 현장을 방문해 월성원전 삼중수소 검출에 대한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관리대책을 촉구했다.
월성원전 삼중수소는 최근 언론을 통해 2019년 4월 경 월성3호기 터빈 건물 지하 고인 물에서 71만3천 베크렐/리터의 삼중수소가 검출되었고 원전부지 내 지하수 관측정에서도 삼중수소가 검출되었음이 알려졌다.
이에 한수원은 "71만3천 베크렐이 검출된 물은 지하수가 아니라 터빈 건물의 지하에 고인 물이며, 외부로 배출한 사례가 없으며 삼중수소 검출에 대한 위법사항이 없다."라고 밝혔다.
또한 "최근 월성원전 주변 지역 4곳의 감시지점 중 3개소(나산리, 울산, 경주)의 지하수는 삼중수소가 검출되지 않았고, 봉길리 감시지점 1곳은 4.80 베크렐/리터가 검출되었으나, WHO 음용수 기준(1만 베크렐/리터) 대비 0.03 ~ 0.06% 수준이다."라고 설명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는 이번 월성원전 삼중수소는 발전소 내 부지에서 발생한 것으로 규제대상이 아니고 배출기준인 4만 Bq/L를 초과 최종 배출한 사실이 없다고 지난 13일 국회에 설명했다.
이에 이철우 지사는 월성원전 지하수 관측정, 월성1호기 차수막 관련 격납건물 여과 배기설비(CFVS), 삼중수소가 검출된 월성3호기 보조 건물 지하에서 안전 관리 상태를 확인하고, 주민들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삼중수소, 원전안전 관련 객관적인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월성 본부에 주문했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이번 월성원전 삼중수소 검출을 과학적이고 기술적으로 냉정하게 검토되어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자제해야 한다."라며 "주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한수원·원자력안전위원회는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조사할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