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김천시에서 실시한 '김천시 통합직제 규정 전부 개정 규정안'이 시민이나 실무 운용당사자들인 공무원들조차도 모르게 추진한 사실이 밝혀져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이번에 명칭이 변경된 '총무 새마을'과는 총무과인지 새마을 과인지 경계선이 없어 보였다. 이 부서에는 총무, 새마을, 시정, 인사, 시민소통, 교육후생담당 6개의 담당을 두고 있어 명칭변경의 의미가 그리 없어 보인다.
정보기획, 기록물통계, 통신 운영 및 녹색미래과학담당으로 구분한 정보기획과는 어떠한 정보를 계획하고 분석하는 기능이 없어 보이는데도 다만 정보기획과로 명칭을 변경한 것은 바꾸어야 한다는 의식에 너무 사로잡혔던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게 하는 부분이다.
또한, 미래혁신전략과는 미래전략담당을 두고 있기는 하지만 혁신도시지원이 주된 업무로 보여 부서의 정체성이 사라졌다는 평을 받고 있다.
시청에서 조직개편의 가장 큰 목적이라면 시민들의 편의성이 증대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부 공무원들이 머리 싸매고 만들어낸 기획안이라면 시민들을 무시한 행정편의주의적인 생각이 만들어낸 결과는 아닌지 고민해 보아야 한다.
김천시청이 존재하는 이유는 시민들이 편리하게 민원업무를 보고 애로사항을 따지고 찾아내 어떻게 하면 시민들이 어려움 없이 생활을 영위할 것인지 도와주고 지원하는 것이다.
그런데도 그러한 존재 이유를 무시하고 행정편의주의적인 발상으로 조직개편안을 만든다면 어느 누가 반기도 환영할 수 있을지 스스로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 보았으면 한다.
최소한 시민들의 의견을 애초부터 무시했다면 공무원들에게 의견 정도는 물었어야 했다는 시민들의 지적을 그냥 흘려보내는 무관심으로 일관하는 일이 없기를 간절히 바란다.
그래서 지금에 와서 아쉬운 것은 그 흔한 공청회 한번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김천시청의 인사가 그리 원활하고 유기적인 체제를 구축하는 것은 아니다. 전문가양성이라는 측면을 떠나 특별한 이유도 없이 한자리에 너무 오래도록 머물게 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최근 김천체육에서 발생한 비위 사건이 인사의 난맥상을 보여준 가장 좋은 사례일 것인데 이를 무시하고 여전히 같은 모습을 보인다고 지적하는 여론에 조금이라도 귀 기울이는 자세가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