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시대 손자병법(孫子兵法)의 저자 손무(孫武)는 제(齊)나라 사람이다. 그는 오나라 왕 합려를 만나 자신의 병법대로라면 여인이라 하더라도 강한 병사로 만들 수 있다고 장담했다.
이에 합려는 자신의 궁녀 180명을 주면서 이들을 훈련 시켜 강한 병사로 만들어 보라고 명했다.
손무는 궁녀들을 90명씩 2개 부대로 나눈 뒤, 왕의 총희(寵姬) 두 여인을 각각 분대장으로 삼아 훈련을 시켰다. 명령과 지시에 따르는 것이 군령임을 세 차례 되풀이하고 실제 훈련장에서 다섯 차례 설명한 뒤 북을 울려 훈련을 위한 군령을 내렸다.
하지만 궁녀들은 웃기만 하고 명을 따르지 않았다. 이에 손무는 군령이 분명한데도 따르지 않은 것은 분대장의 책임이라고 하며 두 총희의 목을 베려고 하는 순간, 합려가 목을 베는 것만은 말렸다.
하지만 손무는 훈련은 전적으로 훈련대장의 권한이니 왕이라 하더라도 간여할 수 없다면서 두 총희의 목을 베고 차석의 궁녀를 분대장으로 삼았다.
다시 북을 울려 훈련을 시작하자 궁녀들은 질서정연하게 군령에 따라 훈련에 임해 남자 못지않은 여군이 되었다. 합려는 손무를 장군에 기용했다.
이때 오나라는 손무의 힘으로 군령을 준수하는 막강한 군대를 만들어 서쪽으로는 초(楚)나라를 꺾고, 주변 나라로부터 막강한 국가로 명성을 떨쳤다.
손무의 이 훈련에서 '일벌백계'의 고사가 유래되었다. 일벌백계(一罰百戒)란 한 사람을 벌주어 백 사람을 경계한다는 뜻으로, 다른 모든 사람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본보기로 한 사람에게 엄한 벌을 내리는 경우를 이르는 말이다.
제갈량의 '읍참마속'은 '일벌백계'의 전형적 사례다. 평소 제갈량은 자기부관 마속을 무척 좋아하고 아꼈다. 절친인 마량의 동생이기도 한 마속은 제갈량이 남만 정벌에 출전할 때 '공심위상'의 책략을 건의할 만큼 병법에도 일가견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가정전투에 선봉장으로 자원해 장합에게 대패함으로써 1차 북벌의 실패를 가져오게 한 책임을 군령으로 다스릴 수밖에 없었다.
전시에서 군령의 준엄함을 보여줌으로써 전 장병에게 경종을 울렸다. 제갈량은 특별히 아끼는 마속에게 전쟁에서 한번 패배는 '병가지상사'니 결초보은의 기회로 삼자는 주위의 만류를 핑계 삼아 용서해줄 수 있었다.
그러나 제갈량은 눈물을 머금고 아끼는 부장을 '읍참마속' 함으로써 신상필벌을 공평무사하게 실시하는 공인의 참된 모습을 후세에까지 보여주는 교훈을 남겼다.
구미시가 가야 할 방향이다. 구미시가 삼국지의 교훈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시정을 펼쳐나간다면 '참 좋은 변화 행복한 구미'란 구호가 멋지게 다가오지 않을까 한다.